1. 연구 목표
산업 4.0 시대에 급변하는 발전산업 환경에 대응하고자 KOEN DT의 실용성을 확보하고자 함. 본 연구에서 개발한 DT 5단계 성숙도 평가지표를 통해 지속적인 발전과 연계를 지향하고자 함. 최종적으로 KOEN DT 고도화 달성 및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중장기 로드맵 수립을 목표함.
- 발전산업 디지털 트윈 성숙도 평가지표 개발
- KOEN DT 현황분석 및 성숙도 평가지표 점검
- DT 고도화를 위한 핵심기술 및 전략과제 도출
- KOEN DT 고도화 로드맵 수립
2. 연구 내용
- KOEN DT 현황분석 및 성숙도 평가지표 점검
– KOEN 발전소 현장 및 프로세스 현황분석
– 발전운영 현장 특성 및 실무자 요구사항 분석을 통한 발전사업 DT 주요 특성 도출
– 발전산업 DT 성숙도 평가지표 개발 및 검토
- DT 고도화를 위한 핵심기술 및 전략과제
– KOEN DT 현 수준 평가 및 우수사례 Gap 분석
– KOEN DT 고도화를 위한 핵심기술 정의
– 중요도 Matrix 분석을 통한 핵심기술 및 개선과제 도출
- KOEN DT 고도화 로드맵 수립
– 핵심 개선과제 item 실현가능성 검증 및 전략 도출
– 세부 전략 선후관계 분석을 통한 KOEN DT 고도화 로드맵 수립
– DT 고도화에 대한 타당성 및 실현가능성 검증
3. 연구 결과
- DT 성숙도 평가지표에 기반한 기술 및 기능 개발
– 앞서 도출한 DT 성숙도 평가지표는 시스템 개발 및 고도화에 대한 요구 기술을 구체적으로 정의했다는 점에서 향후 KOEN의 DT에 대한 방향성 및 현황 분석 방법론을 제시함
- 시뮬레이터 고도화를 통한 발전운영 프로세스 관리 강화
– 현재 KOEN 내에는 발전운영 고도화 및 최적화를 위한 시뮬레이터가 개발되어 있으나 제한적으로 활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DT과의 연계 및 시스템 고도화를 통해 발전운영 의사결정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음
- DT 데이터 시스템 고도화를 위한 체계 확립
– DT은 실제 환경과 가상 환경 간의 밀접한 연계 및 반영이 핵심이라는 점에서 데이터베이스의 정의 및 고도화가 선제적으로 진행되어야 하기에 DT 기능 구축을 위한 핵심 데이터셋의 정의가 수반될 필요가 있음
- 작업현장과 DT 간의 연계성 강화를 통한 안전관리 고도화
– 현장 및 작업자의 안전과 관련한 이슈가 강조되고 있는 환경에서 DT는 안전 이슈에 대한 빠른 대응과 시나리오 기반의 정확한 조치를 지원한다는 점에서 향후 안전에 대한 모니터링 및 피드백 기반 대응 체계를 제공함